‘매 분기 필수 이수’ 법정의무교육, 안전보건교육

산업안전보건교육은「산업안전보건법」제 29조에 따라 근로자가 유해 위험요인 등 안전 보건에 관한
지식을 습득해 적절한 대응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입니다.
사업주는 근로자에 대한 각종 안전보건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합니다.

교육대상

5인 이상 사업장
사업주/근로자 전원

교육시간

사무직/판매직 : 매 분기당 3시간
그 외 근로자 : 매 분기당 6시간
관리감독자 : 연간 16시간

과태료

과태료 최대 500만원 이하
*정기교육 기준
직원 수와 누적 횟수에 비례하여 부과

산업안전보건교육 과정

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및 시행규칙 제26조에 의해 실시하는 법정의무교육으로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교육

학습목표

· 안전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모든 근로자에게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시킨다.
·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해 이해하고, 근로자의 역할과 의무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.
· 산업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와 재해 사례를 통해 사고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.

사무직/판매직
종사자

수강신청 매 분기 당 3시간 수강
목차 4종 택 1

사무직/판매직 종사자

  • 목차 1
    • 1. 서비스업 안전보건관리
    • 2. 서비스업 종사자 근골격계질환 예방
    • 3. 감정노동 힐링 365
  • 목차 2
    • 1. 산업재해의 원인과 안전보건경영의 중요성
    • 2. 서비스업 안전보건관리
    • 3. 근로자 건강관리
  • 목차 3
    • 1. 화재 시 신속대응 요령
    • 2. 꼭 알아둬야 할 응급상황 대처법
      (심정지 및 기도폐쇄)
    • 3. 나를 지키는 직업병 예방
  • 목차 4
    • 1. 인간의 행동과학과 안전보건교육의 개념
    • 2. 작업장 정리정돈 체크 포인트
    • 3. 직무스트레스야 가라!

현장
근로자

수강신청매 분기 당 6시간 수강
목차 4종 택 1

현장 근로자

  • 목차 1
    • 1. 산업안전보건법이란?
    • 2. 나를 지키는 직업병 예방
    • 3. 전도(넘어짐)재해 예방 3대 수칙 (사다리, 계단 등 경사면, 바닥)
    • 4. 야간(교대) 작업자 건강과 사고예방
    • 5. 추락재해발생원인및대책
    • 6. 화재 시 신속대응 요령2분기
  • 목차 2
    • 1. 인간의 행동과학과 안전보건교육의 개념
    • 2. 근골격계질환 예방
    • 3. 충돌(부딪힘)의 안전대책
    • 4.전기안전사고와 예방법
    • 5.직무스트레스야 가라!
    • 6.현장 작업자가 꼭 알아야 할 호흡용 보호구3분기
  • 목차 3
    • 1. 산업안전보건의 이해와 안전조치
    • 2. 재해발생 시 응급처치
    • 3. 위험 기계·기구의 안전한 사용
    • 4.정전사고 예방과 사고 시 긴급대응 요령
    • 5.작업장 정리정돈 체크 포인트
    • 6.꼭 알아둬야 할 응급상황 대처법 (심정지 및 기도폐쇄)4분기
  • 목차 4
    • 1. 위험성평가를 통한 산업재해 예방
    • 2. 안전한 작업을 위한 보호구 착용의 중요성 (안전모, 보안경, 귀마개, 방진마스크 등)
    • 3. 나를 지키는 직업병 예방
    • 4.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
    • 5.위험 기계·기구의 안전한 사용
    • 6.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에 관한 사항

관리
감독자

수강신청연간 16시간
(상,하반기 8시간씩)

관리감독자

  • 목차 1
    • 1.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에 관한 사항
    • 2. 위험성평가를 통한 산업재해 예방
    • 3. 꼭 알아둬야 할 응급상황 대처법
      (심정지 및 기도폐쇄)
    • 4. 추락재해발생원인및대책
    • 5. 동력으로 작동하는 기계 작업 안전수칙
    • 6. 화학설비의 안전점검 및 사용
    • 7. 고위험 작업시의 안전수칙
    • 8. 물질안전보건자료(MSDS) 이해하기하반기
  • 목차 2
    • 1. 관리감독자의 역할과 책임
    • 2. 산업재해의 원인과 안전보건경영의 중요성
    • 3. 안전보건경영의 구체적 실천방안
    • 4. 위험물 및 유해화학물질 안전
    • 5. 영상표시단말기(VDT) 작업 관리
    • 6.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
    • 7. 기계설비의 작업별 위험성 및 예방기술
    • 8. 안전보건활동의 의사소통및대화방법

신규채용/
작업내용 변경 시

수강신청해당사항
발생 시마다

신규채용/작업내용 변경 시

  • 목차 1
    • 1. 산업안전보건법이란?
    • 2. 작업장 정리정돈 체크 포인트
    • 3. 정전사고 예방과 사고 시 긴급대응 요령
    • 4. 물질안전보건자료(MSDS) 이해하기
    • 5. 화재 시 신속대응 요령
    • 6. 추락재해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
    • 7. 안전한 작업을 위한 보호구 착용의 중요성 (안전모, 보안경, 귀마개, 방진마스크 등)
    • 8. 꼭 알아둬야 할 응급상황 대처법(심정지 및 기도폐쇄)